|
![]() |
![]() |
![]() |
![]() |
![]() |
![]() |
![]() |
![]() |
신호검색결과는 당일의 종목별 거래현황을 가격대별, 시간대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 기본단위를 TPO(Time - Price Opportunity)로 정하여 차트상에 일정한 시간 단위로 이 TPO를 구현합니다. | ![]() |
![]() |
![]() |
![]() |
![]() |
![]() |
![]() |
상단메뉴 | |
![]() |
![]() |
종목입력![]() ![]() ![]() ![]() ![]() ![]() |
|
![]() |
조회일 선택 항목입니다. 선택하신 날만큼의 차트가 표시됩니다. | |
![]() |
일자별, 혹은 통합 차트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
![]() |
조회단위(시간)을 10분~60분 중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
![]() |
조회단위(거래량)을 선택하시면 해당 거래량 이상의 내역만 차트로 표기됩니다. | |
![]() |
![]() |
![]() |
차트표기 영역 | |
선택하신 옵션에 따라 마켓프로파일차트가 표시되는 영역입니다.![]() |
![]() |
해당종목의 가격범위가 표시됩니다. | |
![]() |
거래량 수치가 표시되는 영역입니다. | |
![]() |
블록형으로 표현되는 마켓프로파일 차트가 열거된 숫자가 표시되는 영역입니다. | |
![]() |
각 시간대별 기호로 차트가 표시됩니다. |
![]() |
기호설명 | |
선택하신 시간 단위별로 알파벳 이니셜을 배정하여 시간대를 표시합니다. 거래 시작 후 최초 9시부터 9시 30분까지 30분간에 나타나는 가격을 알파벳 A로 표기하고, 그 다음 9시 30분부터 10시까지 30분간에 나타나는 가격을 B로, 그 다음 10시부터 10시 30분까지 30분간을 C로.. D, E…마지막 14시 30분부터 15시까지 30분간은 L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입하여 시간이 종료되는 시간까지의 TPO를 가격과 시간으로 구성된 차트에 표기합니다. | ||
Tip. Market Profile의 이해 Market Profile 차트는 데이 트레이딩 거래기법 중의 하나로 하루의 거래시간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단위별로 영어의 알파벳을 부여한 다음 하루의 거래동향을 알파벳에 의한 체결가격대별로 기록하여 이를 통해 당일의 추세를 파악하는 거래 기법을 의미합니다. Market Profile의 가장 큰 특징은 매일 매일의 특정 패턴을 알기 쉽게 볼 수 있는 데에 있습니다. 시간간격은 사용자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데 보통 15분에서 30분, 1시간 단위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러한 시간단위는 각 거래자의 분석 시장에 따라 달리할 수 있으며 각 거래자의 필요에 따라서 거래의 추세를 보다 쉽게 알 수 있는 적절한 시간단위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기법은 데이트레이딩을 위해 고안되었으며 현재는 시간단위를 분 단위가 아닌 일간으로 할 경우는 중, 장기 분석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은 장점은 복잡한 계산이나 분석이 필요 없이 매우 간단하게 당일의 가격흐름을 빨리 인식할 수 있어 신속한 단기포지션 설정이 가능하며, 다른 기법과 함께 사용할 경우 장기적인 분석 및 거래에서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단, 다른 기법과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통일된 전략 없이는 분석이나 거래에 오히려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일간 거래의 패턴 종류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자신의 거래스타일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실제 매매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초보 거래자들이 이해하고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습니다. |
||
원리와 작성법 우선 주식시장을 시간단위로 나눈 후(예를 들어 30분) 각 시간단위에 일련의 영문자로 표시합니다. 그 후에 각 시간단위의 가격 움직임을 그날의 가격범위 안에 표시합니다. 즉, 주어진 30분마다 도달한 가격은 각각 그에 해당하는 문자로 표시하고 만약 그 가격대가 다른 30분 단위의 문자로 이미 쓰여 있다면, 이미 존재하는 문자 바로 오른쪽에 현재 30분 단위에 해당하는 문자로 표시합니다. 먼저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면, 시간단위를 설정한 후 9시부터 9시 59분까지 형성된 가격은 A로 표시합니다. 이때 문자대신 색상으로 표시하면 더욱 보기가 좋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10시부터 10시59분가지 형성된 가격은 B로 표기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장 마감전인 오후 2시59분까지 표기하고 최종 종가는 G로 표시합니다. 아래 그림(1)과 그림(2)는 실제 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차트를 그린 것으로써, 아래의 그림과 같이 우선 한눈에 시가, 고가, 저가, 종가 움직임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가격의 움직임이 당일 어떻게 움직였는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먼저9시부터 9시59분까지의 1시간 동안 가격은 98,99,100(A)의 지점에서만 가격이 형성되었고, 이후 10시부터 97까지 밀린 후 10시 후반부에는99까지 상승(B)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11시부터 1시간동안은101(C)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후 12시부터 12시 59분(D)까지 100에서 96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1시 이후부터 2시 59분(E)(F)까지 지속, 상승하다가 104에 종가(G)가 나와 장 막판에 상승하며 장을 끝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당일 거래량이 가장 많은 부분은 가장 불룩한 부분인99 지점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불룩한 부분은 가격이 99밑에서 위선을 타고 올라갈 때는 저항선으로 작용하며 99위에서 아래선을 타고 내려갈 때는 지지선의 역할을 하는 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일 중 거래량의 모습뿐 아니라 가격의 추세파악에도 용이하며 각 거래시점의 가격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
||
Market Profile은 이러한 방식에 따라 그려지며 주로 당일 가격변화에 따라 다음과 같이 기본적인 세가지 패턴으로 구분됩니다. 추세일(Trend Day) : 시가부터 종가까지 한 방향으로 꾸준하게 움직이면서 의미있는 가격변화를 보인 거래일입니다. 즉 초기의 가격분포가 소멸되면서 한쪽 방향으로만 확정적인 추세를 보이는 국면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는 시장 초기나 말기에 추세에 따르는 포지션을 구축하여 장, 단기적으로 이익 획득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비 추세일(Non-Trend Day) : 가격변화에 일정한 방향이 없으며 큰 폭의 가격변화도 없는 경우로써 어떤 목표가격이나 큰 가격범위가 형성되지 않아 추세가 보이지 않는 국면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는 무작위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새로운 거래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일(Normal Day) : 가격이 시가부터 넓은 범위에서 움직이고, 종가는 그날의 가격 변화 범위의 중심(평균)으로 다가가는 경향을 보입니다. 즉 시간이 지나면서 상하 진동폭을 줄이면서 당일 종가가 당일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점으로 접근해나가는 국면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에는 시장 초기나 말기에 단기적으로 유리한 포지션을 설정하여 이익을 획득할 수 있다. Neutral Day : 특별한 추세없이 의미 없는 가격변화를 보이면서 약간의 가격변화를 보이는 국면을 의미합니다. Neutral Variation Day : 가격변화의 범위가 아주 넓은 Normal Day를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들을 이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거래자들은 이러한 차트의 패턴과 모양을 통해 거래일의 초기에 그날의 패턴을 인식하여 단기간의 포지션을 취해 이익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추세와 더욱 장기간의 흐름에 대한 정보들을 알려주기 때문에 장기간 거래기법과 같은 다른 기법들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rket Profile 차트는 기본적으로 시간배열에 따른, 즉 거래가 진행되는 동안의 수요와 공급을 확연히 나타냅니다. 또한 각각의 시간단위에 따른 그 수요와 공급의 거래량을 표시함으로서 모든 가격대에서의 소규모와 대규모 투자자의 행동을 나타내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