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면개요
사용자가 원하는 추세를 캔버스(바둑판)에 마우스를 이용하여 작도한 추세의 형태를 지정된 대상에서 검색하는 화면입니다. 마우스의 간편한 동작으로 추세패턴의 종목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2. 사용방법
추세패턴 기본/사용자 목록
차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추세패턴의 모양과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추세패턴의 모양을 기본형태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객이 작도한 추세패턴을 저장하여 사용자 탭에서 선택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검색대상 선택

검색하려고 하는 대상(시장)을 선택합니다.
'전체/코스피/코스닥/관심종목' 을 기준으로 하위그룹을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지정그룹제외 선택시 선택한 그룹(Ex:코스피>증권주 선택시 증권주)을 제외하고 검색합니다.(검색대상이 전체일 경우는 비활성화 처리됩니다.)
검색설정 지정

검색하려고 하는 '주기(일/주/월/분)'를 선택합니다.
패턴기간[20] : 찾고자 하는 기간(캔버스 크기와 동일)을 수치로 입력하거나, 마우스로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유사도 : 찾고자 하는 추세패턴의 유사도를 지정하여 검색하는 기능으로 유사도는 추세패턴 검색 로직에 근거하여 유사도 기준 이상의 추세를 검색합니다. 유사도가 높을수록 추세패턴의 정확도가 높아지나, 검색 종목수는 적어질 수 있습니다.
과거검색 : 과거검색 체크를 안 한 경우에 현재시점으로부터 패턴기간(20)에 해당되는 차트구간에서만 검색하나 과거시점 체크 후 OOO개 이내 선택시 현재시점부터 OOO 이내 봉까지 정해진 패턴기간의 추세패턴의 모양을 찾는 기능입니다.
작도 캔버스 및 검색결과 차트
초기화 : 작도된 추세패턴의 클리어 하는 기능입니다.
저장 : 작도한 추세패턴을 사용자가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저장 후 사용자 탭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삭제는 사용자 탭에서 선택 후 오른쪽 마우스 메뉴에서 패턴삭제를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캔버스 : 찾고자 하는 추세패턴을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 후 캔버스(바둑판)에 드래그 하여 추세를 그리면 검색이 됩니다.
검색결과 차트 : 검색된 종목의 차트화면으로 작도한 추세패턴과 비교하여 볼 수 있습니다.(종목명 및 유사도 표시)
검색결과 및 부가기능
검색 : 찾고자 하는 추세패턴의 대상 및 설정 변경 후 검색버튼을 이용하여 재검색 할 때 사용합니다.
인쇄 : 검색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항목편집 : 검색항목 편집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Ex:저가/고가/시가/거래량/매도호가/매수호가 등) 추가/삭제/변경 하여 검색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종목전송 : 검색된 종목들을 '종합차트/성과분석/관심등록/Excel' 화면으로 전송하는 기능입니다.
검색결과 확장 : 검색결과 항목을 확장하여 보는 기능으로 검색결과가 많을 경우 한눈에 보기 원할 때 사용합니다.
3. 화면설명
기본 캔들패턴 설명

반전형 패턴으로 머리어깨형을 뒤집어 놓은 형태로 3개의 골짜기가 형성되며 두번째 골짜기가 가장 깊다. 주가가 세번째 골짜기를 형성한 후 골짜기 사이의 두 봉을 이은 선을(목선) 상향 관통할 때 패턴이 완성되고 두번째 골짜기만큼의 주가상승을 예측한다.

쌍봉형이 뒤집힌 형태로 두개의 골짜기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첫번째 골짜기 더 깊고 날카로우며 골짜기의 형성시간이 길고 골짜기가 깊을수록 신뢰도가 높다.

지속형 패턴으로 봉을 이은 저항선이 하향하고 골짜기를 이은 지지선이 상향한다.
주가가 마지막 골짜기를 형성한 후 저항선을 상향 관통할 때 패턴이 완성되며 삼각형의 밑변만큼의 주가상승을 예측한다.

지속형 패턴으로 수직에 가까운 급격한 주가상승 이후 사각깃발 모양의 횡보를 보이다가 추가 상승하는 형태로 깃대(급격한 상승폭)만큼의 상승을 예측한다.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직사각형 모양의 보합을 보이다가 다시 상승하는 지속형 패턴이다.
마지막 골짜기 형성 이후 저항선을 관통하면서 패턴이 완성되고 사각형의 높이만큼의 주가상승을 예측한다.

반전형 패턴으로 세개의 봉이 형성되며 두번째 봉이 가장 높다.
주가가 세번째 봉을 형성한 후 세봉들 사이의 골짜기를 이은 목선(넥라인)을 하향 관통하는 순간 패턴이 완성되며 두번째 봉의 높이만큼의 주가상승을 예측한다.

반전형 패턴으로 두개의 봉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첫번째 봉이 두번째 봉보다 높고 날카로우며 두 봉우리가 형성되는데 소요된 시간이 길고 봉우리의 높이가 높을수록 패턴의 신뢰도가 높다.

지속형 패턴으로 골짜기를 이은 지지선이 상향하고 봉을 이은 저항선이 하향한다.
주가가 마지막 봉을 형성한 후 지지선을 하향 관통할 때 패턴이 완성되며 삼각형의 밑변만큼의 주가하락을 예측한다.

봉을 이은 저항선이 상향하고 골짜기를 이은 지지선이 하향하는 형태로 주가가 마지막 봉을 형성하고 지지선을 하향 관통할 때 패턴이 완성된다. 삼각형의 밑변만큼의 주가하락을 예측한다.

하락하던 주가가 직사각형 모양의 보합을 보이다가 다시 하락하는 지속형 패턴이다.
주가가 마지막 봉을 형성하고 지지선을 하향관통하면서 패턴이 완성되며 직사각형의 높이만큼의 하락을 예측한다.